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검색영역
검색어입력
전체메뉴 열기
전체메뉴 건너뛰기
희귀질환정보
희귀질환정보
희귀질환지정신청
접수현황
심의현황
지원사업
의료비지원사업
소개
대상질환
모의계산
보건소담당자
장애인등록·증명서
의료비지원 온라인 신청
신청 절차 안내
신청하기
가족정보 제공 동의 입력
진행상태 조회
온라인 소득재산 정기재조사
신청 절차 안내
신청하기
가족정보 제공 동의 입력
진행상태 조회
유전자진단지원 및 관련사업
유전자 진단지원 사업
비수도권 유전자 진단지원 사업
진단후속지원 및 유전상담사업
산정특례제도
소개
극희귀·상세불명희귀·기타염색체이상질환 등록병원
등록통계사업
사업 소개
자료 수집·분석
통계 결과
권역별거점센터
사업 소개
중앙지원센터
부산권 거점센터
경기서북부권 거점센터
경기남부권 거점센터
강원권 거점센터
충북권 거점센터
충남권 거점센터
전북권 거점센터
전남권 거점센터
경북권 거점센터
경남권 거점센터
제주권 거점센터
행사일정
거점센터 정보공유 게시판
온라인상담실
1:1상담
자주하시는질문
전문교육자료
의료진 교육자료
신규 희귀질환 지정신청
산정특례 신청
교육 책자
교육 동영상
일반 교육자료
교육 책자
교육 동영상
정보·알림
공지사항
법·시행령·시행규칙
고시·지침
민원서식
카드뉴스
학술자료
관련사이트
이용안내
저작권정책
주메뉴
희귀질환정보
희귀질환정보
희귀질환지정신청
지원사업
의료비지원사업
의료비지원 온라인 신청
온라인 소득재산 정기재조사
유전자진단지원 및 관련사업
산정특례제도
등록통계사업
사업 소개
자료 수집·분석
통계 결과
권역별거점센터
사업 소개
중앙지원센터
부산권 거점센터
경기서북부권 거점센터
경기남부권 거점센터
강원권 거점센터
충북권 거점센터
충남권 거점센터
전북권 거점센터
전남권 거점센터
경북권 거점센터
경남권 거점센터
제주권 거점센터
행사일정
거점센터 정보공유 게시판
온라인상담실
1:1상담
자주하시는질문
전문교육자료
의료진 교육자료
일반 교육자료
정보·알림
공지사항
법·시행령·시행규칙
고시·지침
민원서식
카드뉴스
학술자료
관련사이트
모바일메뉴 건너뛰기
메뉴열기
희귀질환정보
희귀질환정보
희귀질환지정신청
접수현황
심의현황
지원사업
의료비지원사업
소개
대상질환
모의계산
보건소담당자
장애인등록·증명서
의료비지원 온라인 신청
신청 절차 안내
신청하기
가족정보 제공 동의 입력
진행상태 조회
온라인 소득재산 정기재조사
신청 절차 안내
신청하기
가족정보 제공 동의 입력
진행상태 조회
유전자진단지원 및 관련사업
유전자 진단지원 사업
비수도권 유전자 진단지원 사업
진단후속지원 및 유전상담사업
산정특례제도
소개
극희귀·상세불명희귀·기타염색체이상질환 등록병원
등록통계사업
사업 소개
자료 수집·분석
통계 결과
권역별거점센터
사업 소개
중앙지원센터
부산권 거점센터
경기서북부권 거점센터
경기남부권 거점센터
강원권 거점센터
충북권 거점센터
충남권 거점센터
전북권 거점센터
전남권 거점센터
경북권 거점센터
경남권 거점센터
제주권 거점센터
행사일정
거점센터 정보공유 게시판
온라인상담실
온라인상담실
1:1상담
자주하시는질문
전문교육자료
의료진 교육자료
신규 희귀질환 지정신청
산정특례 신청
교육 책자
교육 동영상
일반 교육자료
교육 책자
교육 동영상
정보·알림
공지사항
법·시행령·시행규칙
고시·지침
민원서식
카드뉴스
학술자료
관련사이트
메뉴닫기
홈
정보·알림
공지사항
정보·알림
공지사항
법·시행령·시행규칙
고시·지침
민원서식
카드뉴스
학술자료
관련사이트
공지사항
'21년 희귀질환관리법에 따른 희귀질환 지정 공고
작성일 -
2021-11-10
조회수 -
8164
「희귀질환관리법」 제2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조에 따라 지정하는 희귀질환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br /> <br /> ▶ 「희귀질환관리법」에 따른 희귀질환 지정<br /> ■ 「희귀질환관리법」 제2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조 제2항에 따라, 희귀질환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희귀질환을 붙암과 같이 지정함<br /> <br /> <span style="font-size:small">○</span> 희귀질환 목록(1,123개)<br /> - 신규지정 39개<br /> - 기존 지정 질환과 신규지정 질환 간의 통합 (3개 → 1개 질환) <table border="1"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border-image:none; border:0.56pt solid #000000"> <tbody> <tr> <td style="background-color:#e5e5e5; background:#e5e5e5; border-color:#000000; border-image:none; border-style:solid; border-width:0.56pt; height:19.58pt; padding:0pt; text-align:center; width:48.26pt" valign="middle"><strong>구분</strong></td> <td style="background-color:#e5e5e5; background:#e5e5e5; border-color:#000000; border-image:none; border-style:solid; border-width:0.56pt; height:19.58pt; padding:0pt; text-align:center; width:189.76pt" valign="middle"><strong>질환명</strong></td> <td style="background-color:#e5e5e5; background:#e5e5e5; border-color:#000000; border-image:none; border-style:solid; border-width:0.56pt; height:19.58pt; padding:0pt; text-align:center; width:217.81pt" valign="middle"><strong>변경</strong></td> </tr> <tr> <td rowspan="2" style="border-color:#000000; border-image:none; border-style:solid; border-width:0.56pt; height:91.86pt; text-align:center; vertical-align:middle; width:48.26pt">기존<br /> 지정<br /> 질환</td> <td style="border-color:#000000; border-image:none; border-style:solid; border-width:0.56pt; height:45.93pt; text-align:center; vertical-align:middle; width:189.76pt">6번 염색체 단완 22 부분의<br /> 미세결손 증후군<br /> (6p22 microdeletion syndrome)</td> <td rowspan="3" style="border-color:#000000; border-image:none; border-style:solid; border-width:0.56pt; height:137.79pt; text-align:center; vertical-align:middle; width:217.81pt"> 6번 염색체 단완의 결손 증후군<br /> (6p deletion syndrome)<br /> <br /> * 신규로 ‘6번 염색체 단완의 결손 증후군’이 추가되면서 기지정 질환인 ‘6번 염색체 단완 22 부분의 미세결손’과 ‘6번 염색체 단완 25 부분의 결손’을 통합</td> </tr> <tr> <td style="border-color:#000000; border-image:none; border-style:solid; border-width:0.56pt; height:45.93pt; text-align:center; vertical-align:middle; width:189.76pt">6번 염색체 단완 25 부분의 결손<br /> (6p25 deletion)</td> </tr> <tr> <td style="border-color:#000000; border-image:none; border-style:solid; border-width:0.56pt; height:45.93pt; text-align:center; vertical-align:middle; width:48.26pt">신규<br /> 지정<br /> 질환</td> <td style="border-color:#000000; border-image:none; border-style:solid; border-width:0.56pt; height:45.93pt; text-align:center; vertical-align:middle; width:189.76pt">6번 염색체 단완의 결손 증후군<br /> (6p deletion syndrome)</td> </tr> </tbody> </table> <br /> <span style="font-size:small"></span><span style="font-size:small"> </span>○ 검토대상 질환<span style="left:-5000px; width:1px"><span style="height:1px"><span style="overflow:hidden"></span></span></span><br /> - 2020년 5월 ~ 2021년 4월까지 희귀질환 지정신청 수요조사를 통해 접수된 질환<br /> <br /> ○ 지원내용 ('22년 예정)<br /> - 희귀질환 산정특례 적용(본인부담금 10%로 경감)<br /> - 저소득 건강보험가입자에게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에서 요양급여 중 본인부담금 지원<br /> <br /> 붙임 1. 2021년 희귀질환 지정 전체목록(1,123개).hwp<br /> 붙임 2. 2021년 희귀질환 지정 전체목록(1,123개).xlsx<br /> 붙임 3. 희귀질환 목록 변경내역
질병관리청이 창작한 '21년 희귀질환관리법에 따른 희귀질환 지정 공고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프로그램 업데이트에 따른 서비스 장애 안내
다음글
통계청 한국표준질병ㆍ사인분류(KCD) 권고안에 따른 희귀질환 질환명 변경
목록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