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항목분류에 속한 다른 질환을 검색합니다.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목록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목록 (KCD코드, 질환명,환자등록기준)를 제공하는 테이블
KCD코드 |
질환명 |
환자등록기준 |
E74.0 |
간인산화효소결핍 Liver phosphorylase deficiency |
신규등록
재등록
|
E74.0간인산화효소결핍 (Liver phosphorylase deficiency)
질환주요정보
관련질환명, 영향부위,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잔정특례코드, 의료비지원여부로 이루어진 질환주요정보 게시판입니다.
관련질환명 |
당원 축적병 제 6형 (Glycogen storage disease 6 ) 글리코겐증 VI형 ( Glycogenosis Type VI ) 허스병 ( Hers disease ) 인산화 효소 결핍 글리코겐증 ( Hepatophosphorylase Deficiency Glycogenosis ) 인산화 효소 결핍 당원 축적병 ( Phosphorylase deficiency glycogen-storage disease of liver) |
영향부위 |
체내 : 간 체외 : 없음 |
증상 |
간비대증, 저혈당증, 성장지연, 근력약화 |
원인 |
간인산화효소(Liver phosphorylase) 결핍 |
진단 |
간조직검사, 유전자검사 |
치료 |
식이요법, 증상이 심각한 경우 간이식이 필요 |
산정특례코드 |
V117 |
의료비지원 |
지원 |
※ 질환별 정확한 의료비지원대상 여부 및 지원범위는 ‘지원사업 > 의료비지원사업 > 대상질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질환세부정보
- 아래 메뉴를 선택하시면 해당 내용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관련임상시험
-
개요 General Discussion
- 간인산화효소결핍 (Liver phosphorylase deficiency)은 상염색체열성 유전질환으로 PYGL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당원(글리코겐)을 분해하는 간인산화효소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당원 축적병의 한 종류입니다. 간인산화효소가 부족하게 되면 많은 양 글리코겐이 간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간비대, 중증도의 저혈당증, 혈액 내에서 아세톤과 그 외의 케톤체의 상승, 중증도의 성장지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br />
<br />
이 질환의 증상들은 유년기에 항상 명확하게 나타나지는 않으며,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증상들과 징후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호전되는데, 이는 신체의 항상성(homeostasis)을 통해 점차 저혈당에 적응하면서 대체방법으로 에너지를 생산하여 이루어진다고 생각되어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허스 병을 포함해 모든 당원축적질환을 합한 유병율은 40,000명중 1명 미만인 것으로 추정됩니다.<br />
<br />
<img alt="포도당 신생합성 과정과 간인산화효소 결핍" src="/cdchelp/img/dis_dtl/s259_a.jpg" style="width:800px" />
-
증상 Symptoms
- 간인산화효소결핍의 특정 증상들은 소아기에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많지만 간비대증은 발생할 수 있습니다. <br />
<br />
많은 양의 글리코겐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간비대가 나타날 수 있으며 또한 간암과 심근병의 발생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경증에서 중증도의 저혈당(Hypoglycemia)으로 인해 허약감, 배고픔, 초조함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근긴장저하와 경미한 근육약화 및 성장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의 항상성을 통한 저혈당의 적응으로 인해 다른 방법의 에너지 생산으로 이 질환을 오랫동안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br />
<br />
사춘기 무렵 간비대는 거의 사라지고 키도 정상 성인까지 자랍니다. 또한 근력 및 근긴장도도 성인기에 대부분 정상화됩니다.
-
원인 Causes
- 간인산화효소결핍은 상염색체열성 유전질환으로 결함 있는 유전자는 14번 염색체에 위치(14q21-q22)하고 있으며 인산화효소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대사질환입니다. <br />
<br />
당원(글리코겐)은 에너지원인 포도당으로 전환되기 위해서 인산화효소가 필요한데, 간인산화효소결핍은 일차적으로 글리코겐의 축적과 이로 인한 간 비대, 포도당의 부족, 젖산(lactic acid), 케톤체(ketone body), 지질, 요산의 증가를 가져옵니다. 하지만 혈액 내 포도당의 부족은 포도당신생합성(gluconeogenesis)을 활성화시켜 혈액내 포도당의 농도를 거의 정상으로 유지시키고, 질환을 발생한 젖산을 포함한 산물들도 포도당 신생과정의 연료로 사용되므로 케톤증은 경미하고 젖산산증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
진단 Diagnosis
- 간인산화효소결핍은 간비대, 저혈당이 발생시 의심해봐야 합니다. PYGL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유전자 검사가 불명확할 경우 간조직검사를 통해 간인산화효소의 활동성을 측정하여 수치가 낮을 시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치료 Treatment
- 간인산화효소결핍의 치료 목표는 지속적인 금식을 피하여 정상 혈중 혈당 수치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 질환의 증상들은 대체로 경미하여 대부분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으나, 정기적인 혈당 수치 확인 및 의사의 진찰과 검사가 필요합니다. <br />
조리되지 않은 옥수수전분과 같은 복합 탄수화물은 신체에서 소화되기 어려워 정상 혈중 혈당 수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이 질환으로 인해 근력이 약화된 소아들에게는 고단백식이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br />
저혈당증이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미리 교육하고, 질병과 관련한 응급처치 등을 적은 팔찌 등 착용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br />
환자와 가족은 유전상담을 통해 해당 유전질환이 무엇인지, 질환의 증상과 경과 과정, 어떻게 유전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현재 연구자들에 의해 효소와 유전자 치환(Gene replacement)에 관한 실험이 진행 중입니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Bibliography&Site
- <a href="http://www.rarediseases.org" target="_blank" title="새창으로 열림">http://www.rarediseases.org</a><br />
<a href="https://rarediseases.info.nih.gov" target="_blank" title="새창으로 열림">https://rarediseases.info.nih.gov</a><br />
Roscher A, Patel J, Hewson S, Nagy L, Feigenbaum A, Kronick J, Raiman J, Schulze A, Siriwardena K, and Mercimek-Mahmutoglu S. The natural history of glycogen storage diseases type VI and IX: Long-term outcome from the largest metabolic center in Canada. Molecular Genetics and Metabolism. November 2014; 113(3):171-176. <a href="https://www.ncbi.nlm.nih.gov/pubmed/25266922" target="_blank" title="새창으로 열림">https://www.ncbi.nlm.nih.gov/pubmed/25266922</a>.<br />
Dagli AI and Weinstein DA.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VI. GeneReviews. May 17, 2011; <a href="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941" target="_blank" title="새창으로 열림">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941</a>.<br />
Anderson WE. Type VI Glycogen Storage Disease. Medscape Reference. December 5, 2014; <a href="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119873-overview" target="_blank" title="새창으로 열림">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119873-overview</a>.<br />
Type VI Glycogen Storage Disease. Association for Glycogen Storage Disease. <a href="http://www.agsdus.org/type-vi.php" target="_blank" title="새창으로 열림">http://www.agsdus.org/type-vi.php</a> Accessed 10/4/2017.<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