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항목분류에 속한 다른 질환을 검색합니다.
E71.1고발린혈증 (Hypervalinaemia)
질환주요정보
관련질환명, 영향부위,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잔정특례코드, 의료비지원여부로 이루어진 질환주요정보 게시판입니다.
관련질환명 |
발린혈증 (Valinemia) 발린 전환효소 결핍증 (Valine Transaminase Deficiency) |
영향부위 |
체내 : 뇌, 혈관(혈액) 체외 : 없음 |
증상 |
구토, 대사산증, 성장장애, 식욕부진, 혼수 |
원인 |
상염색채 열성으로 유전 |
진단 |
혈액검사, 소변검사,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 |
치료 |
식이요법(저발린 식이) |
산정특례코드 |
V117 |
의료비지원 |
지원 |
※ 질환별 정확한 의료비지원대상 여부 및 지원범위는 ‘지원사업 > 의료비지원사업 > 대상질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질환세부정보
- 아래 메뉴를 선택하시면 해당 내용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관련임상시험
-
개요 General Discussion
- <p>고(高)발린혈증은 필수 아미노산 중 하나인 발린의 대사에 필요한 효소인 발린 전이효소의 부족으로 인해 혈액과 소변에 발린의 수치가 높아지는 매우 희귀한 대사 질환입니다.</p>
<p>식욕부진, 잦은 구토, 성장장애가 나타나고 근육 긴장도 저하나 과다 행동이 올 수 있습니다.</p>
<p>발린은 적어도 일곱 가지 단계를 거쳐서 분해되는데 각 단계마다 필요한 효소가 있는데 고발린혈증의 증상은 어떤 효소가 부족한 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p>
-
증상 Symptoms
- <p>고(高)발린혈증은 혈액과 소변에 발린이 증가되어 있는 질환으로 보통 신생아기부터 증상이 나타납니다. 신생아에서 단백질 불내성(不耐性), <strong style="font-weight:normal">대사산증</strong>, 잦은 구토, 성장 장애, 지적장애 및 불수의적인 빠른 안구 운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p>
<p>비정상적으로 근육의 긴장성이 낮아지고 심하게 졸려하거나 반대로 활동이 비정상적으로 항진된 상태인 과다활동이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이 심한 경우 혼수상태에 빠져 사망할 수 있습니다.</p>
-
원인 Causes
- <p>고발린혈증은 <strong style="font-weight:normal">상염색체 열성</strong>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발린 전이효소의 부족으로 인해 발병하는 희귀한 대사질환입니다.</p>
<p>신생아 250,000명의 중 1명꼴로 나타납니다.</p>
-
진단 Diagnosis
- <p>고(高)발린혈증의 진단은 소변과 혈액에 축적된 대사산물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대사산물을 흡착제에 의해 분리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화학분석의 한 방법인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합니다.</p>
<p>연구자 Dancis 등에 의하면 발린의 아미노 전이반응(轉移反應)은 발린 전이효소에 의해 이루어지며 태반에서도 발린의 아미노 전이반응이 나타나므로 고발린혈증 환아를 출산한 적이 있는 산모라면 두 번째 임신 시 산전에 태반 생검을 통해 태아의 고발린혈증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p>
-
치료 Treatment
- <p>초기 유아기에 저(低)발린 식이를 시행하여 혈액 내 발린 축적을 줄여 고(高)발린혈증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발린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음식의 예로는 유제품, 육류, 곡류, 버섯, 콩, 땅콩 등이 있으며 이러한 음식들을 피하도록 합니다.</p>
<p><img alt="고발린혈증의 치료" src="/cdchelp/potal/Image/s05_096_i01.jpg" /></p>
-
참고문헌 및 사이트 Bibliography&Site
- <p>2007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Inc.<br />
Ogier de Baulny H, Saudubray JM. Branched chain organic acidurias. Semin Neonat. 2002;7:65-74<br />
http://www.rarediseases.org<br />
http://www.anyvitamins.com/valine-info.htm<br />
http://www.ncbi.nlm.nih.gov/entrez/query.fcgi?cmd=Retrieve&db=OMIM&dopt=Detailed&tmpl=dispomimTemplate&list_uids=277100</p>
<p><img alt="작성 및 감수 : 국립보건연구원/대한의학회 ※최종 업데이트일 : 2012.09.24 -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연구원, 대한의학회" src="/cdchelp/potal/Proof/s05_094.jpg"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