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항목분류에 속한 다른 질환을 검색합니다.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목록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목록 (KCD코드, 질환명,환자등록기준)를 제공하는 테이블
KCD코드 |
질환명 |
환자등록기준 |
E77.0 |
뮤코지질증Ⅱ[Ⅰ-세포병] Mucolipidosis Ⅱ[Ⅰ-cell disease] |
신규등록
재등록
|
E77.0뮤코지질증Ⅱ[Ⅰ-세포병] (Mucolipidosis Ⅱ[Ⅰ-cell disease])
질환주요정보
관련질환명, 영향부위,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잔정특례코드, 의료비지원여부로 이루어진 질환주요정보 게시판입니다.
관련질환명 |
포함세포병 (Inclusion Cell Disease) 레로이병 (Leroy Disease) 뮤코리피드 병 II형 (Mucolipidosis II) N-Acetylglucosamine-1-Phosphotransferase결핍 (N-Acetylglucosamine-1-Phosphotransferase Deficiency) 뮤코지질증 IIIα/β (Mucolipidosis IIIα/β (ML IIIα/β)) |
영향부위 |
체내 : 간, 뇌, 심장, 폐 체외 : 골격, 근육, 눈, 척추, 피부 |
증상 |
관절의 강직과 경축, 근육 긴장성 저하, 머리와 얼굴에 이상, 빈번한 호흡기계 감염, 잇몸의 과도한 증식, 척추 |
원인 |
4번 염색체에 위치(4q21-q23)하고 있는 GNPTAB 유전자의 변이,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 |
진단 |
혈액검사, X-선검사, 전산화단층촬영술(CT), 자기공명영상(MRI), GNPTAB 유전자 검사 |
치료 |
항생제, 감기예방주사, 물리치료, 전고관절 치환술 |
산정특례코드 |
V117 |
의료비지원 |
지원 |
※ 질환별 정확한 의료비지원대상 여부 및 지원범위는 ‘지원사업 > 의료비지원사업 > 대상질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질환세부정보
- 아래 메뉴를 선택하시면 해당 내용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관련임상시험
-
개요 General Discussion
- 뮤코지질증 II (Mucolipidosis II), 점액지질증 II이라고도 불리는 I-세포병은 세포내 리소좀(Lysosome)의 여러가지 분해효소가 부족해서 세포내에 뮤코지질(Mucolipid)과, 뮤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s)가 축적되는 리소좀축적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의 일종인 유전대사질환입니다. I-세포병에서는 다수의 리소좀 효소가 결핍되어 있으나, 환자의 피 속에는 리소좀 효소의 농도가 높게 측정되기 때문에, 리소좀 효소가 세포 내로 이동하는 과정이나 분포에 결함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인 유전자는 GNPTAB 유전자입니다.<br />
<br />
I-세포병의 증상은 독특한 거친(coarse) 얼굴 모양, 골격계 이상, 정신 지체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증상이 헐러증후군(Hurler syndrome)과 비슷하지만 훨씬 더 심각하게 나타납니다. 이 질환과 관련된 증상들은 일반적으로 영아기에 뚜렷하게 나타나며, 두개골과 얼굴에 다양한 병변이 나타나고 성장이 지연됩니다.<br />
<br />
이 질환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남성과 여성에게 동일한 비율로 발병합니다. 발생률은 일반적으로 100,000~400,000명당 1명꼴입니다. 일본은 252,000명당 1명 꼴이며(1985년도 보고자료), 전체적인 보인자 빈도는 158~316명당 1명 꼴입니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보고 된 예는 몇 십 례에 불과합니다.
-
증상 Symptoms
- 환자에게 나타나는 몇몇 증상들은 태어날 때부터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6-10개월 때 증상이 확실해지며, 특히 머리와 얼굴에 이상이 나타납니다.<br />
<br />
낮은 콧대, 길고 좁은 머리모양, 비정상적으로 높고 좁은 이마, 윗눈꺼풀의 일부가 눈의 안쪽을 덮는 내안각 주름, 비정상적으로 두껍고 단단한 피부(얼굴, 팔, 다리 부분)를 특징으로 하는 외모를 지니고 있습니다. 눈의 각막이 뿌옇게 흐려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br />
<br />
또한, I-세포병 영아들은 골격계 이상증상으로 척추가 비정상적으로 좌우로 휘어져 척추측만증이 나타나거나, 앞뒤로 휘어져 척추후만증이 나타납니다. 또한 비정상적으로 목이 짧고, 태어날 때부터 엉덩이(고관절)의 탈골이 일어나며, 척추의 윗부분이 비대해지고, 어깨의 움직임에 제한이 옵니다. 또한 척추가 바르게 일렬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갈비뼈 사이가 정상인보다 넓습니다. 만곡족(clubfoot)이 관찰됩니다. 그리고 손가락이 붙어 있는 합지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p><img alt="I-세포병의 증상" src="/cdchelp/img/dis_dtl/s06_104_i01.jpg" /></p>
손을 움직이는 능력의 발달이 심하게 지연되고, 반복되는 중이염, 청력소실, 근육 긴장성 저하, 그리고 정신지체가 나타납니다. 성장이 지연되어 결국 소인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배꼽탈장이나 서혜부 탈장을 보이는 경우도 있고, 간이 비정상적으로 커지기도 하여, 때때로 영아 환자에서 배가 튀어나와 보이기도 합니다.<br />
<br />
빈번한 호흡기계 감염, 변비와 설사, 잇몸의 과도한 증식, 그리고 관절의 강직과 경축이 나타나며, 어떤 경우 심장 판막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며, 심잡음, 심장 비대, 울혈성심부전의 증상이 올 수 있습니다.<br />
<br />
I-세포병 환자는 십 대까지 생존하는 경우도 간혹 있지만 보통의 경우 유년기에 사망하게 됩니다.<br />
<br />
<strong>◈ 중증소견</strong><br />
기질 축적이 지속되면, 근긴장도 저하와 골격계 변형으로 인한 보행장애 및 고관절 문제로 휠체어나 침상 생활로 이어지며, 장기 비대 특히 심비대, 간비대와 연관한 심부전에 의해 사망할 수 있고, 잦은 호흡기계 감염의 합병증으로도 사망할 수 있습니다.
-
원인 Causes
- I-세포병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으로, 4번 염색체 장완에 위치(4q21-q23)하고 있는 GNPTAB (N-acetylglucosamine-1-phosphatate transferase subunits alpha and beta, HGNC ID: 29670, 22.6. 기준)) 유전자의 돌연변이 때문에 생깁니다.<br />
<br />
GNPTAB 유전자 돌연변이는 Mannose-6-phosphate라는 대사물질의 합성에 관여하는 UDP-N-acetylglucoseamine-1-phosphotransferase라는 효소의 결핍현상을 일으킵니다. 이로 인해 세포에서 생성된 여러 리소좀 효소가 리소좀 안으로 들어가서 못해 리소좀 안의 처리해야 할 여러 물질의 대사 되지 못하고, 몸의 조직과 세포 안에 특정 지방물질과 탄수화물 복합체가 축적되게 됩니다. 이러한 세포 내, 조직 내 기질의 축적은 축적된 부위의 조직과 장기 손상을 유발합니다.
-
진단 Diagnosis
- I-세포병의 진단은 출생전 양수천자 및 융모막 검사 상에서 UDP-N-acetylglucoseamine-1-phosphotransferase의 활성도가 감소되어 있는 경우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아기에는 임상 소견과 환자의 과거력, 백혈구나 섬유모세포에서 UDP-N-acetylglucoseamine-1-phosphotransferase 효소의 활성도 분석이 진단에 유용합니다. 리소좀 효소의 수치는 특히 혈청에서 상승되어 있고, 섬유모세포에서는 감소되어 있습니다. GNPTAB 유전자 검사로 확진합니다.<br />
<br />
대부분의 환자(95% 이상)는 염기서열 분석(Sanger sequecing)을 통해 GNPTAB 유전자를 직접 분석하거나,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을 통해 증상 관련 유전자 패널을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일부 환자(3%)에서 ASAH1의 결실 또는 중복을 확인하기 위해 quantitative PCR, long-range PCR이나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LPA), 유전자 특이 마이크로어레이(gene-targeted microarray)를 통해 유전적 변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br />
<br />
X-선을 비롯하여 컴퓨터단층촬영(CT) 또는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하여 골격계에 나타난 기형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뮤코다당증과의 감별점은 소변에서 뮤코다당체가 검출되지 않는 점입니다.
-
치료 Treatment
- <p>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치료는 증상에 따라 보완하여 환자에 따라 다른 치료방법이 사용됩니다.<br />
호흡기계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가 종종 처방되고, 일 년에 한 번씩 독감예방주사를 맞는 것이 중요합니다.<br />
물리치료를 통해 관절의 기능과 움직임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br />
고관절에 대한 전고관절치환술은 사춘기 이후에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다른 정형외과적 합병증이 발생하면 그에 따라 치료를 합니다.</p>
<p><img alt="고관절전치환술" src="/cdchelp/img/dis_dtl/s06_104_i02.jpg" /></p>
<p>청력에 장애가 생긴 경우 때때로 보청기가 도움을 줄 수도 있습니다. 수면 검사는 수면을 방해하는 수면 무호흡증의 정도 및 치료를 위해 할 수 있습니다.<br />
심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 수술하여 치료하기도 합니다.<br />
골수 이식이 치료를 위해 시도되고 있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입니다.<br />
추가적인 치료로는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strong style="font-weight:normal">대증요법</strong>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지지요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br />
환자와 가족을 위해 유전상담이 필요할수 있습니다.</p>
<strong>◈ 예후</strong><br />
대부분의 환자가 2~8세 사이에 폐렴 및 심부전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Bibliography&Site
- <p>1.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NORD). I cell disease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rarediseases.org/rare-diseases/i-cell-disease/<br />
2. Online Mendelian Inheritance in Man (OMIM). Mucolipidosis II alpha/beta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www.omim.org/entry/252500.<br />
3. Kornfeld S, Sly WS, I-cell and pseudo-Hurler polydystrophy: disorders of lysosomal enzyme phosphorylation and localization. In: Scriver CR, Beaudet AL, Sly WS, et al, eds. The Metabolic and MolecularBasis of Inherited Disease, 7th ed. New York: McGraw-Hill, 1995:2495-2508.<br />
4. Medscape. Inclusion-Cell (I-cell) disease (Mucolipidosis type II). Available from: http://www.emedicine.com/ped/topic1150.htm<br />
5. MedlinePlus. Mucolipidosis II alpha/beta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medlineplus.gov/genetics/condition/mucolipidosis-ii-alpha-beta/<br />
6. GeneRevies [Internet]. GNPTAB-Related Disorders. Leroy JG, Cathey SS, Friez MJ. 2008 Aug 26 [Updated 2019 Aug 29].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1828/<br />
7. 유한욱, 증례로 배우는 유전성 대사질환, 고려의학, 2016, P. 545-9</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