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항목분류에 속한 다른 질환을 검색합니다.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목록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목록 (KCD코드, 질환명,환자등록기준)를 제공하는 테이블
KCD코드 |
질환명 |
환자등록기준 |
E71.3 |
장쇄수산화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결핍증(VLCAD) Very long chain acyl-CoA dehydrogenase(VLCAD) deficiency |
신규등록
재등록
|
E71.3장쇄수산화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결핍증(VLCAD) (Very long chain acyl-CoA dehydrogenase(VLCAD) deficiency)
질환주요정보
관련질환명, 영향부위,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잔정특례코드, 의료비지원여부로 이루어진 질환주요정보 게시판입니다.
관련질환명 |
장쇄 수산화 acyl-CoA 탈수소효소 결핍증 (Long chain 3-hydroxy acyl-CoA dehydrogenase (LCHAD) deficiency) |
영향부위 |
체내 : 간, 심장 체외 : 귀, 근육, 피부 |
증상 |
근력저하, 망막병증, 저혈당증 |
원인 |
HADHA 유전자의 돌연변이 |
진단 |
탄뎀매스검사/혈액과 소변으로 카르니틴, 아실카르니틴, 아실글라이신, 유기산 분석/섬유아세포에서 LCHAD 활성도 |
치료 |
포도당의 충분한 투여, 장기간의 식사 치료, 카르니틴 치료 |
산정특례코드 |
V117 |
의료비지원 |
지원 |
※ 질환별 정확한 의료비지원대상 여부 및 지원범위는 ‘지원사업 > 의료비지원사업 > 대상질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질환세부정보
- 아래 메뉴를 선택하시면 해당 내용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관련임상시험
-
개요 General Discussion
- 장쇄수산화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결핍증은 HADHA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하여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지방산 산화 과정에 이상을 초래하는 대사이상 질환 중 하나로, 저혈당, 심장, 간, 눈, 근육 등을 증상을 일으키며 주로 신생아선별검사를 통해 확인됩니다. 대체로 저혈당, CK상승, 횡문금융해증, 대사 이상의 악화를 경험하기 하지만, 정상 성장 발달을 보이는 등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입니다.
-
증상 Symptoms
- <table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width:500px" summary="장쇄수산화아실코에이 탈수소효소 결핍증(VLCAD)의 임상적 특성에 따른 분류">
<thead>
<tr>
<th scope="col">표현형</th>
<th scope="col">발현시점</th>
<th scope="col">증상과 징후</th>
<th scope="col">중등도</th>
<th scope="col">빈도(%)</th>
<th scope="col">유전형</th>
</tr>
</thead>
<tbody>
<tr>
<td>심근병증형</td>
<td>신생아, 조기영아기</td>
<td>심근병증, 심낭삼출, 간부전, 혈청 암모니아/ 젖산/ CK(creatinine kinase) 수치 상승</td>
<td>중증, 보통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td>
<td>47</td>
<td>도개의 완전소실변이로 인해 VLCAD 효소활성도가 없음</td>
</tr>
<tr>
<td>간부전형</td>
<td>후기 영아기, 소아기</td>
<td>반복되는 저케톤성 저혈당증, 간부전</td>
<td>중간정도, 진단과 치료가 늦으면 생명이 위험</td>
<td>33</td>
<td>두개의 완전소실변이와 과오돌연변이의 중간 정도</td>
</tr>
<tr>
<td>근병증형</td>
<td>사춘기 이후</td>
<td>골격근 단독침범. 운동이나 금식시 유발되는 간헐적 근력저하, 근육통, 횡문근융해</td>
<td>경도</td>
<td>20</td>
<td>두개의 과오돌연변이 혹은 하나의 아미노산 삭제로 VLCAD 효소활성도 유지</td>
</tr>
</tbody>
</table>
<br />
증상의 심한 정도가 매우 다양하여, 심근과 골격근의 근육통 및 근력저하를 보이기도 하나 증상이 미약한 경우도 있습니다.<br />
<br />
출생 시에는 정상으로 보이나 대개 3세 이전에 증상 발생이 시작됩니다. 반복되는 저혈당과 근력 저하, 심장, 간, 눈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고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혼수, 심정지, 뇌사뿐 아니라 사망하기도 합니다. 이들 증상은 에너지 결핍을 시사합니다. 간비대가 종종 관찰되는데 간조직검사에서는 지방 축적과 섬유화 소견을 보입니다.<br />
<br />
이 질환의 태아를 임신한 보인자 산모에서 지방간, 용혈, 간기능 이상, 혈소판 감소 등의 산과적 합병증 (HELLP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드물게 영아돌연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br />
<br />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의 주된 증상은 심비대, 근력 저하, 간기능 이상 그리고 간비대와 동반된 저케톤성 저혈당증입니다. 소아 후기에서는 근육통과 근력 저하와 함께 횡문근융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원인 Causes
- 장쇄수산화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결핍증은 hydroxyacyl-CoA dehydrogenase/3-ketoacyl-CoA thiolase/enoyl-CoA hydratase (trifunctional protein), alpha subunit (HADHA)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원인이 됩니다.
-
진단 Diagnosis
- 탄뎀 매스를 이용한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몇 가지 종류의 장쇄 수산화아실카르니틴 (lon chain hydroxyacylcarnitines (C16-OH, C16:1-OH, C18-OH, C18:1-OH, C18:2-OH, C12-C14))가 증가된 것으로 진단됩니다. 혈액과 소변 검체를 이용하여 카르니틴, 아실카르니틴, 아실글라이신 그리고 유기산 검사와, 혈액의 CK, AST ALT증가를 검사합니다.<br />
<br />
가장 용이한 선별 검사는 감소된 혈청 카르니틴 수치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가장 정확한 검사는 피부섬유아세포에서 감소된 효소 활성도를 관찰하거나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양막세포나 융모막 융모세포에서 돌연변이를 발견하거나 특이 효소의 활성도 또는 β-산화능, 아실카르니틴을 검사하여 산전 진단하는 것도 가능합니다.<br />
<br />
유전자검사를 통해 HADHA gene변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c.1528 G>C (p. E510Q)가 문헌상 가장 흔한 질병변이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
치료 Treatment
- 여러 증상 중 가장 치명적인 것은 간과 관련된 증상입니다. 금식으로 유발된 혼수상태에서는 사망 가능성이나 혼수가 장기간 지속될 위험이 있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될 경우 예후가 매우 좋습니다.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금식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식이를 조절함으로써 반복적인 질환의 재발을 예방하는 것입니다.<br />
<br />
급성 질환의 치료: 급성으로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 즉시 포도당을 정맥 내로 투여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갑작스럽게 사망하거나 영구적인 뇌 손상을 입게 될 수 있습니다. 포도당을 충분히 투여하면 간과 근육에서 지방산 산화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고, 지방 조직의 분해를 방지할 수 있는 정도로 인슐린의 분비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br />
<br />
장기간의 식이 치료: 장기간의 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지방산을 연료로 사용해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피하는 것, 즉 금식을 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취침 후에도 12 시간이상의 금식이 되지 않도록 환자는 취침 시 탄수화물을 섭취하여야 합니다. 식욕이 감소하였을 때는 특히 밤새 탄수화물을 조금씩 더 섭취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만 합니다. 기력이 약화되었거나 심근병변이 진행되어 심한 증세를 보이는 지방산 대사이상 질환 환자들의 경우, 계속하여 밤에도 위장 내에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주입하여 금식의 유발여지를 완전히 제거하여야 합니다. 저지방, 고탄수화물식은 색소성 망막증의 진행을 늦춰 좋은 예후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br />
<br />
그 밖의 치료: 중쇄 중성지방 (MCT oil)과 docosahexanoic acid (DHA) 섭취가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일부 카르니틴 공급이 증상을 완화를 보였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나 정립되진 않았습니다. 이 질환은 보통 부모에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상염색체 열성 방식으로 유전되는 질환이므로 부모의 유전자 검사와 더불어 유전 상담이 요구됩니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Bibliography&Site
- Tyni T, Pihko H. Long-chain 3-hydroxy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 Acta Paediatr 1999;88:237-45.<br />
Gillingham M, Van CS, Ney D, et al. Management of long-chain 3-hydroxy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 A case report and survey. J Inher Metab Dis 22(1999) 123-31.<br />
윤혜란. 지방산 산화 이상 질환; 종류, 임상양상 및 진단과 치료. Hanyang medical reviews 2005;25<br />
Venditti LN, Venditti CP, Berry GT, et al. Newborn Screening by Tandem Mass Spectrometry for Medium-Chain 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 : A Cost-Effectiveness Analysis. Pediatrics 2003;112:1005-15.<br />
Belliq LL. Maternal acute fatty liver of pregnancy and the associated risk for long-chain 3-hydroxyacyl-coenzyme a dehydrogenase (LCHAD) deficiency in infants. Adv Neonatal Care 2004 Feb;4(1):26-32.<br />
Tyni T, Mitochondrial fatty acid beta-oxidation in the human eye and brain: implications for the retinopathy of long-chain 3-hydroxy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 Pediatr Res. 2004 Nov;56(5):744-50.<br />
Ute Spiekerkoetter. Mitochondrial fatty acid oxidation disorders: clinical<br />
presentation of long-chain fatty acid oxidation defects before and after newborn screening. J Inherit Metab Dis (2010) 33:527?532<br />
De Biase I, Viau KS, Liu A, et al. Diagnosis, Treatment, and Clinical Outcome of Patients with Mitochondrial Trifunctional Protein/Long-Chain 3-Hydroxy 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 JIMD Reports 2017;31:63-71<br />
<br />
http://www.adamslchad.com<br />
http://www.emedicine.com/ped/topic1284.htm<br />
http://www.savebabies.org/diseasedescriptions/lchadd.php<br />
http://www.pediatrix.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