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질환명 |
스티클러 증후군 (Stickler Syndrome) |
영향부위 |
체내 : 뇌, 생식기, 신경, 심장, 폐, 혈관(혈액) 체외 : 골격, 귀, 근육, 눈, 입 |
증상 |
작은턱증(소하악증, micrognathia), 설하수증(glossoptosis), 구개열(입천장갈림증), 중이염, 각막경화증, 근시, 원시, 난시, 심혈관계 이상(폐고혈압, 폐동맥판협착증, 동맥관개존증), 고관절 기형, 대퇴부 기형, 합지증, 손발가락부족증, 척추전만증, 척추후만증), 뇌전증(epilepsy), 수두증, 근육긴장저하, 잠복고환증(남성) |
원인 |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턱 발달이 비정상적이어서 구개열이 발생하며, 양수과소증과 스티클러 증후군과 관련 있을 수 있음 |
진단 |
아기의 신생아 검진과 CT 검사, 수면 검사, 초음파를 통해 태아 시절에도 특징적인 소견을 확인. |
치료 |
호흡을 위한 기도 보호, 영양 보조, 구개열 치료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