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항목분류에 속한 다른 질환을 검색합니다.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목록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목록 (KCD코드, 질환명,환자등록기준)를 제공하는 테이블
KCD코드 |
질환명 |
환자등록기준 |
J84.0 |
폐포단백질증 Alveolar proteinosis |
신규등록
재등록
|
J84.0폐포단백질증 (Alveolar proteinosis)
질환주요정보
관련질환명, 영향부위,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잔정특례코드, 의료비지원여부로 이루어진 질환주요정보 게시판입니다.
관련질환명 |
Alveolar lipoproteinosis Alveolar phospholipidosis Pulmonary alveolar phospholipoproteinosis 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syndrome |
영향부위 |
체내 : 폐 체외 : 없음 |
증상 |
운동성 호흡곤란, 기침, 객담, 피로감과 체중감소, 열 |
원인 |
폐 표면활성제의 합성장애, 폐 표면활성제의 제거장애(일차성 PAP, 자가면역성 PAP, hereditary PAP, 이차성 PAP) |
진단 |
진단은 환자의 증상, 흉부 영상 검사, 기관지페포세척액 및 조직의 현미경적
소견 등을 종합하여 이루어집니다.
또한, PAP의 세부분류에 따라 관련유전자들의 분자유전학적 검사, GM-CSF 자가항체 검사로 확진할 수 있습니다. |
치료 |
전폐세척술 또는 GM-CSF 약제 투여 |
산정특례코드 |
V222 |
의료비지원 |
지원 |
※ 질환별 정확한 의료비지원대상 여부 및 지원범위는 ‘지원사업 > 의료비지원사업 > 대상질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질환세부정보
- 아래 메뉴를 선택하시면 해당 내용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관련임상시험
-
개요 General Discussion
- <p class="treatmentList">폐포단백질증은 폐포 내에 폐 표면활성제(pulmonary surfactant)의 합성과 제거의 이상으로 인해 호흡부전을 초래하는 광범위한 질환군을 말합니다. 폐 표면활성제의 합성장애에 의한 경우는 주로 유전자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며 빈도가 낮습니다.<br />
폐 표면활성제 제거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이는 폐포 대식세포의 기능이상에 의해 발생하며 다음과 같이 세분하기도 합니다.<br />
대식세포의 작용에 관여하는 GM-CSF signaling의 이상에 의한 경우를 일차성 (primary), 기저질환에 의한 경우를 이차성 (secondary)로 분류합니다.<br />
<br />
일차성 PAP 중에서 GM-CSF signaling의 이상에 의해 GM-CSF 자가 항체가 증가하는 경우를 자가면역 폐포단백질증(autoimmune PAP)으로 분류하며, 가장 빈도가 높아 90%정도를 차지합니다. <br />
GM-CSF 자가 항체가 없는 경우에서는 GM-CSF 알파, 베타 수용체 유전자의 이상에 의해서도 발생하는데 CSF2RA, CSF2RB 유전자가 보고되어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hereditary PAP로 분류하기도 하며 전체 환자의 1% 미만을 차지합니다. <br />
이차성 PAP 중에서도 혈액질환(골수이형성증후군)이 성인에서 발생한 이차성 PAP의 75%이상을 차지하며 전체 PAP의 8~9%를 차지합니다.<br />
전체 환자의 2/3가 남성이며, 남녀 비는 2.2:1입니다. </p>
-
증상 Symptoms
- <p class="treatmentList">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운동성 호흡곤란, 기침, 객담, 피로감과 체중감소, 열 등이 있습니다. <br />
<br />
이차성 PAP의 경우에는 혈액질환과 관련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열이 잘 동반합니다. <br />
자가면역성 PAP의 경우에는 57~79%정도에서 흡연력이 있으며, 26~54%에서 먼지, 연기 흡입력이 있습니다.<br />
전체 환자의 2/3가 남성이며, 남녀 비는 2.2:1입니다. </p>
-
원인 Causes
- <p class="treatmentList">정상적으로 폐 표면활성제는 폐포의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며, 이것은 표면장력을 유지하여 폐포가 찌부러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폐 표면활성제가 비정상적으로 폐포에 침착이 되면 폐포단백질증이 발생합니다. <br />
<br />
1. 폐 표면활성제의 합성장애<br />
: 폐 표면활성제의 합성장애에 의한 경우는 주로 유전자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데, 신생아와 소아에서 관찰되며 빈도가 매우 낮습니다.<br />
관련된 유전자는 SFTPB, SFTPC, ABCA3, Nkx2.1 등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br />
<br />
2. 폐 표면활성제의 제거장애<br />
: 폐 표면활성제 제거기전의 이상으로 PAP가 발생하는데, 이는 폐포 대식세포의 기능이상에 의합니다.<br />
대식세포의 작용에 관여하는 GM-CSF signaling의 이상에 의한 경우를 일차성 (primary), 기저질환에 의한 경우를 이차성 (secondary)로 분류합니다. <br />
<br />
▶ 일차성: GM-CSF signaling의 이상에 의해서 GM-CSF 자가 항체가 증가하는 경우를 자가면역 폐포단백질증(autoimmune PAP)으로 분류하며, 가장 빈도가 높아 90%정도를 차지합니다. GM-CSF 자가 항체가 없는 경우에서는 GM-CSF 알파, 베타 수용체 유전자의 이상에 의해서도 발생하는데 CSF2RA, CSF2RB 유전자가 보고되어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hereditary PAP로 분류하기도 하며 전체 환자의 1% 미만을 차지합니다. <br />
<br />
▶ 이차성: 동반되는 기저질환은 매우 다양한데 혈액질환, 악성질환 혹은 증식성 질환 (림프종, 급성 백혈병, 만성 골수구성 백혈병, 털세포 백혈병, 혈질세포 골수종, 흑색종, 골수이형성증후군, 아밀로이드증, 단클론감마병증 등), 면역결핍질환, 감염, 약물, 급성 규폐증, 시멘트 분진, 셀룰로오스 섬유, 알루미늄 분진, 이산화티타늄에 호흡기가 노출될 경우 등이 있습니다. <br />
특히, 혈액질환(골수형성이상증후군)이 성인에서 발생한 이차성 PAP의 75%이상을 차지하며 전체 PAP의 8~9%를 차지합니다.</p>
-
진단 Diagnosis
- <p class="treatmentList"> 진단은 환자의 증상, 흉부 영상 검사, 기관지페포세척액 및 조직의 현미경적 소견 등을 종합하여 이루어집니다. 성인에서의 폐포단백질증의 기관지폐포세척액 혹은 폐생검에서 전형적인 조직병리학적 특징을 보이는 경우 진단할 수 있습니다.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하여 얻은 기관지폐포세척액이 우윳빛 또는 막걸리 색을 띄거나 경기관지 폐생검을 통해 얻은 작은 폐조직에서 Periodic acid-Schiff (PAS) 염색 양성 인지질 물질이 폐포 대식세포 주위에서 발견될 경우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검사로 진단되지 못하면 전신마취 하에 흉강경 폐생검을 시행하여 확진 할 수 있습니다. <br />
<br />
<img alt="폐포단백질증 환자의 영상과 조직검사 소견 그림. 흉부전산화 단층촬영 소견, 조직검사 소견" src="/cdchelp/img/dis_dtl/RA201810526_1.jpg" /><br />
<폐 표면활성제의 합성장애에 의한 경우><br />
분자유전학적검사에 의해서 SFTPB, SFTPC, ABCA3, Nkx2.1 유전자 변이를 확인하면 확진할 수 있습니다. <br />
<br />
<폐 표면활성제의 제거장애에 의한 경우><br />
1. 일차성 폐포단백질증의 경우<br />
-GM-CSF 자가항체가 증가하는 경우<br />
: 고분해능 컴퓨터 단층 촬영 (HRCT)상 관찰되는 특징 적인 소견 및 기관지 폐포세척액의 대식세포 주변의 PAS 양성 단백질 성 물질이 관찰되는 소견 그리고 GM-CSF 자가항체 측정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br />
-GM-CSF 자가항체가 없는 경우<br />
: GM-CSF 수용체 알파 또는 베타 서브 유닛 (CSF2RA 및 CSF2RB)의 유전적 변이로 인하여 나타나며 매우 드뭅니다. 진단은 비정상적인 GM-CSF 수용체 기능 및 유전자 염기 서열 분석을 기반으로 합니다. 또한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해서 CSF2RA, CSF2RB 유전자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br />
<br />
2. 이차성 폐포단백질증의 경우<br />
: 심각한 수준의 먼지 노출 (실리카, 알루미늄, 티타늄, 인듐-주석 산화물), 혈액 질환 (골수 형성 이상 또는 악성 종양) 또는 조혈모세포 이식 여부 등 원인에 대한 병력 청취를 통해 확인해야 하며, 특징적인 고분해능 컴퓨터 단층 촬영(HRCT) 소견 및 기관지세척액소견을 기반으로 합니다.</p>
-
치료 Treatment
- <p class="treatmentList">폐포단백질증의 치료는 각각의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일차성의 경우 GM-CSF 투여나 전폐세척술(whole lung lavage)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이차성은 기저질환의 치료를 시행하며, 유전자 이상에 의한 경우에는 보조적 치료나 폐이식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br />
<br />
전폐세척술은 폐포 내에 축적된 표면활성제의 기원인 인지질을 기도를 통한 반복적인 식염수 세척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전신마취 하에 실시합니다. 약 60% 이상의 환자에서 치료에 반응을 보이며, 5년 생존률도 전폐세척술을 시행 받은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에서 94±2%, 85±5%로 각기 보고되고 있습니다. 치료효과의 지속기간은 평균 15개월이며, 반복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br />
<br />
<img alt="전폐세척술 그림. 데운 생리식염수, 인공호흡기, 두 갈래로 구분된 특수 기관캐뉼라를 사용해 폐를 세척하고 폐 세척액을 별도로 수집한다." src="/cdchelp/img/dis_dtl/RA201810526_2.jpg" /><br />
GM-CSF 투여는 원인이 되는 GM-CSF 결핍을 외부에서 기도 및 피하로 투여하는 치료법으로서, 기도를 통한 흡입요법이 부작용이나 치료 편리성 면에서 장점이 많습니다. 문헌에 따라서 43% ~ 57% 정도의 반응률을 보이며, 치료의 기간이나 용량, 치료의 지속기간 등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보고가 이루어지면서 정립되고 있으며, 과거에 비해 반복적인 전폐세척술 치료보다 더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부작용으로 피하 주사 시에 주사부위의 홍반,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외에 백혈구감소증, 발열, 오한, 구역, 구토, 저산소증, 저혈압, 빈맥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br />
<br />
폐포단백질증에서는 호흡기계 감염이 흔하므로,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엄격하게 검사 및 진단과정을 거쳐 해당 균에 대한 치료 및 보조적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br />
<br />
폐이식은 선천성 폐포 단백증, 전폐세척술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규폐증 등의 폐섬유화를 동반하는 다른 폐질환과 동반된 경우에 고려할 수 있습니다.</p>
-
참고문헌 및 사이트 Bibliography&Site
- Nam S, Park K, Lee H, et al. A Case of 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with Spontaneous Resolution. Tuberc Respir Dis 2007;63:294-8.<br />
Rosen SH, Castleman B, Liebow AA. 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N Engl J Med. 1958;258:1123-42.<br />
Ben-Dov I, Kishinevski Y, Roznman J, et al. 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in Israel: ethnic clustering. Isr Med Assoc J. 1999;1:75-8.<br />
Suzuki T, Trapnell B.C. 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Syndrome. Clin Chest Med. 37(3):431-440;2016.<br />
<br />
http://www.uptodate.com/contents/diagnosis-and-treatment-of-pulmonary-alveolar-proteinosis-in-adults<br />
https://rarediseases.org/rare-diseases/pulmonary-alveolar-proteinosis/<br />
https://www.omim.org/entry/306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