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항목분류에 속한 다른 질환을 검색합니다.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목록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목록 (KCD코드, 질환명,환자등록기준)를 제공하는 테이블
KCD코드 |
질환명 |
환자등록기준 |
G12.0 |
영아척수성 근위축, I형[베르드니히-호프만] Infantile spinal muscular atrophy, type Ⅰ[Werdnig-Hoffman] |
신규등록
재등록
|
G12.0영아척수성 근위축, I형[베르드니히-호프만] (Infantile spinal muscular atrophy, type Ⅰ[Werdnig-Hoffman])
질환주요정보
관련질환명, 영향부위,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잔정특례코드, 의료비지원여부로 이루어진 질환주요정보 게시판입니다.
관련질환명 |
베르드니히-호프만 병 (Werdnig - Hoffman Disease) 영아형 척수 근육위축, Ⅰ형 (Infantile spinal muscular atrophy, typeⅠ) 급성 영아형 척수성 근육위축 (SMA, Infantile Acute Form) 척수성 근육위축 1형, 또는 제 1형 척수성 근육위축 (Spinal Muscular Atrophy typeⅠ) 베르드니히-호프만 마비 (Werdnig-Horrman Paralysis) |
영향부위 |
체내 : 신경 체외 : 근육 |
증상 |
관절의 과운동성, 건(Tendon)반사가 소실, 혀 근육의 속상수축(fasciculation), 엉덩이관절 외전, 흡인성 폐 |
원인 |
SMN(Survival motor neuron) 유전자의 돌연변이, 상염색체 열성 형질로 유전 |
진단 |
혈액검사, 근전도검사, 근육생검, 유전자검사 |
치료 |
물리치료, 위관을 통해 영양 공급, 대증요법(Symptomatic treatment), 지지요법(Supportive therapy) |
산정특례코드 |
V123 |
의료비지원 |
지원 |
※ 질환별 정확한 의료비지원대상 여부 및 지원범위는 ‘지원사업 > 의료비지원사업 > 대상질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질환세부정보
- 아래 메뉴를 선택하시면 해당 내용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관련임상시험
-
개요 General Discussion
- <p>베르드니히-호프만병(Werdnig-Hoffman disease)은 척수성 근육위축 타입(spinal muscular atrophy)이며 척수와 뇌간의 운동신경세포 손상으로 근육이 점차적으로 위축되는 신경근육계 희귀 유전질환 입니다.</p>
<p><img alt="영아척수성 근위축" src="/cdchelp/img/dis_dtl/s05_241_i01.jpg" /></p>
<p>이 질환은 제1형 척수성 근육위축(Spinal muscular atrophy type I: SMA1)이라고도하며 주로 영아기에 발병하고 척수성 근육위축의 약 80%은 심각한 형태(SMA 1)로 나타나게 됩니다. 제1형 척수성 근육위축의 신생아들은 6개월이 되기 전에 근육이 심하게 약해지고, 독립적으로 앉지 못하게 되며 이외에 운동발달장애, 근육 긴장성 약화가 특징적인 임상 소견으로 나타나게 됩니다.</p>
<p>베르드니히-호프만병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5번 염색체에 있는 생존운동신경원(SMN : Survival motor neuron)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생긴다고 밝혀져 있고 NAIP(neuronal apoptosis inhibitory protein)유전자의 결손도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p>
<p>이 질환은 매우 희귀한 질환으로, 여성과 남성에게 동일한 비율로 나타나며, 매년 약 100,000명의 신생아 중 4명에게 나타난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p>
-
증상 Symptoms
- <p>베르드니히-호프만 병은 제 1형 척수성 근육위축으로 근육이 약해지는 증상이 주로 6개월 미만의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희귀 진행 신경근육 질환입니다. 초기 증상으로 전신의 근육이 약해지고(hypotonia), 관절의 과운동성을 보이며, 힘줄(건,Tendon)반사가 소실되게 됩니다.</p>
<p>신생아의 경우 젖이나 우유를 빨고 삼키는 능력에 이상이 생겨, 음식물이 폐로 들어가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이 발생하거나 질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아들은 2세가 되기 전에 사망하지만, 생존율은 호흡기 계통의 기능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p>
<p>영아는 젖이나 우유를 빨거나 삼키는 능력에 이상이 생기며, 태어나서 첫 몇달 동안 복식 호흡을 하게 됩니다. 근육이 약해지는 증상은 신체의 양쪽에서 함께 나타나며, 혀 근육의 속상수축(Fasciculation)이 종종 일어나게 됩니다. 속상수축이란 근육이 수축하려다 말고 경련하듯이 움찔거리면서 떨리는 현상을 의미합니다.</p>
<p>이외에도 엉덩이 관절이 외전되어 개구리와 같은 자세를 취하고, 무릎이 앞으로 구부러져 있습니다. 신생아들은 머리를 잘 가누지 못하고, 몸을 잘 뒤집지 못하며, 자신의 몸무게를 지탱할 수 없어 앉거나 서지 못합니다. 따라서 잘 움직이지 못하여 누워있기만 하는 이완성 마비(flaccid paralysis)와 같은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그러나 지능 발달과 인지 능력도 정상이며 얼굴 근육은 정상입니다.</p>
<p>출생 후 첫 달 동안 정상적으로 자라는 것처럼 보이지만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근육 긴장성이 떨어지고, 근육이 약해지는데 이는 점차적으로 신체의 거의 모든 수의근(voluntary muscles)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p>
<p>병이 진행되는 속도는 다양한데, 이 질환의 후반기에 이르면 횡격막 근육이 영향을 받아 몇 달 내 호흡 곤란이 나타나고, 객담 등 분비물 배출이 어려워집니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조금씩 다르지만 좀 더 성장한 후에 근육 약화가 나타난다면 질환의 진행이 비교적 느린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p>
-
원인 Causes
- <p>척수성 근육위축(Spinal muscular atrophy: SMA)은 5번 염색체(5q11-q13)에 위치하고 있는 SMN(Survival motor neuron)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나타나며 SMN 유전자와 근접해 있는 NAIP(Neuronal apoptosis inhibitory protein) 유전자도 이 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베르드니히-호프만병을 가진 더 많은 환자들이 다른 척수성 근육 위축 타입보다 NAIP 결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어느 한 쪽의 유전자의 변화가 질환이 될지도 모른다고 하지만 다른 이들은 두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필요할 것이라고 합니다. 결국 NAIP 유전자의 손실과/또는 SMN 유전자의 다른 돌연변이가 질환의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p>
<p>척수성 근육위축은 상염색체 열성 형질로 유전되나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질병의 증상으로 발현되는 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여러 의학 문헌에 의하면,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운동신경세포 자멸사(apoptosis)가 정상보다 길게 지속되어 이 질환이 나타난다고 합니다.</p>
<p><img alt="영아척수성 근위축의 원인" src="/cdchelp/img/dis_dtl/s05_241_i02.jpg" /></p>
-
진단 Diagnosis
- <p>베르드니히-호프만 병은 임상 평가, 신체적으로 나타나는 증상, 환자의 과거력과 가족력, 혈액을 통해 근육의 손상 정도를 알려주는 크레아틴 키나아제(Creatine kinase:CK)의 농도, 분자생물학적 유전자검사와 근전도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p>
<p>크레아틴 키나아제는 일반적으로 신경손상이 시작되면서 근육위축이 오기 전에 상승하지만, 이 질환에서는 근육 위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혈액의 크레아틴 키나아제의 수치가 정상이나 다른 형태의 척수성 근육위축증에서는 상승하게 됩니다.</p>
<p>근전도 검사 시 세동전위(Fibrillation potentials), 양성 예파(Positive sharp wave), 복합연속방전(complex repetitive discharges)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p>
<p>근육 생검을 통해 근육 조직을 보면 신경과 근육에 퇴행성 위축이 나타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분자생물학적 유전자검사를 통해 SMN 유전자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p>
<p><img alt="영아척수성 근위축의 진단" src="/cdchelp/img/dis_dtl/s05_241_i03.jpg" /></p>
<p>만일 돌연변이가 SMN 유전자에서 존재한다면, 분자 유전학검사가 진단하는데 이용이 되고 척수성 근육위축은 SMN 유전자의 일부 또는 완전한 손실로 인해 유발되기 때문에 약 95%는 유전자 특정 부위(엑손 7번 또는 엑손 8번)의 양쪽 카피(both copies) 결손을 보이게 됩니다. 질환에 영향 받은 이들의 약 5%는 SMN 유전자의 한 카피(one copy)내 엑손 7번의 결손과 SMN 유전자의 다른 카피 내(other copy)에 다른 돌연변이를 보이게 됩니다.</p>
<p>분자 유전학 검사를 이용하기에 앞서, 신경 생리학적 검사와 근육 생검이 진단에 이용 되지만 이 검사들은 SMN 유전자 검사가 정상인 경우 외에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습니다.</p>
<p>척수성 근육위축의 보인자 검사는 분자 유전학적 검사이며, 엑손 7번과 8번에 있는 SMN 유전자의 카피의 수로 결정하게 됩니다.</p>
-
치료 Treatment
- <p>근육위축에 의한 형태 변형과 기능 장애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물리치료가 처방될 수 있으며, 보행이나 기립을 위한 보조 기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를 통해 관절 가동범위(Range of motion)를 유지시키며, 근육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구축(Contracture)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동은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에서 환자가 지치지 않을 정도로 시행할 수 있으며, 호흡과 관련된 근육이 매우 약해졌을 경우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호흡을 도울 수 있습니다.</p>
<p>연하곤란(dysphagia)이 발생하므로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필요하다면 위관을 통해 영양 공급을 할 수 있습니다. 상기도가 감염되면 폐렴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으므로 호흡기계 감염의 징후가 있을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p>
<p>이 질환의 환자들은 운동 기능에만 장애가 생기고, 감각과 지능은 정상이므로, 부모들은 어린이들과 정상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용기를 북돋아주어야 합니다.</p>
<p>가족과 환자를 위해 유전상담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며, 추가적인 치료로는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Symptomatic treatment)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지지요법(Supportive therapy)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p>
<p>아직까지 베르드니히-호프만 병을 치료하기 위한 특별한 방법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으나 연구자들은 유전자 대체 치료법(Gene replacement therapy)의 가능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p>
-
참고문헌 및 사이트 Bibliography&Site
- <p>『임상 신경학-II.각론』 이대희,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br />
2007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Inc.<br />
http://www.rarediseases.org<br />
http://www.patient.co.uk/showdoc/40001509/<br />
http://www.madisonsfoundation.org/content/3/1/display.asp?did=393<br />
http://www.madisonsfoundation.org/content/3/1/display.asp?did=393<br />
http://www.amcgenetics.or.kr/<br />
http://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253300<br />
http://en.wikipedia.org/wiki/Werdnig-Hoffman_diseas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