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항목분류에 속한 다른 질환을 검색합니다.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목록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목록 (KCD코드, 질환명,환자등록기준)를 제공하는 테이블
KCD코드 |
질환명 |
환자등록기준 |
D68.2 |
제1인자[피브리노젠]의 결핍 Ⅰ[Fibrinogen] deficiency of factor |
신규등록
재등록
|
D68.2제1인자[피브리노젠]의 결핍 (Ⅰ[Fibrinogen] deficiency of factor)
질환주요정보
관련질환명, 영향부위,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잔정특례코드, 의료비지원여부로 이루어진 질환주요정보 게시판입니다.
관련질환명 |
선천성 무섬유소원혈증 (Congenital afibrinogenemia) 저피브리노젠혈증 (hypofibrinogenemia) 이상피브리젠혈증 (dysfibrinogenemia) 저이상피브리젠혈증 (hypodysfibrinogenemia) |
영향부위 |
체내 : 비장, 혈관(혈액) 체외 : 골격, 피부 |
증상 |
토혈, 혈변, 피하출혈, 비출혈, 월경과다, 혈관절증, 뇌출혈, 혈전증 |
원인 |
섬유소원 유전자의 돌연변이 |
진단 |
섬유소원의 정량적 분석 |
치료 |
섬유소원 농축 동결참전제제 |
산정특례코드 |
V009 |
의료비지원 |
지원 |
※ 질환별 정확한 의료비지원대상 여부 및 지원범위는 ‘지원사업 > 의료비지원사업 > 대상질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질환세부정보
- 아래 메뉴를 선택하시면 해당 내용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관련임상시험
-
개요 General Discussion
- 선천성 섬유소원(피브리노젠, fibrinogen) 이상은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양적인 이상의 1형은 무섬유소원혈증(afibrinogenemia)과 저섬유소원혈증(hypofibrinogenemia)이고 질적인 이상의 2형은 이상섬유소원혈증(dysfibrinogenemia)과 저이상섬유소원혈증(hypodysfibrinogenemia)으로 구성됩니다. 1형 중에서 유전변이에 의한 섬유소원의 완전결핍을 보이는 경우 선천성 선천성 무섬유소원혈증이라고 합니다.<br />
<br />
선천성 무섬유소원혈증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혈액응고인자 1번(Coagulation factor 1)인 섬유소원이 선천적으로 부족하거나 없는 혈액질환입니다.<br />
<br />
환자는 유아기나 유년기에 심각한 출혈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대개 진단 시기는 다양하지만, 빠르면 신생아시기에 제대 출혈 소견으로 진단되기도 합니다.<br />
<br />
무섬유소원혈증의 경우 발생률은 인구 100만명 중 1-2명으로 매우 드문 질환으로, 2021년까지 250례가 보고되었으며 남, 여에서 동일하게 발생합니다.<br />
저섬유소원혈증은 100만명 중 0.5-3명 내외로 발생하며, 이상섬유소원혈증은 100만명당 1-3명의 빈도로 발생합니다.
<p><img alt="제1인자 결필증" src="/cdchelp/img/dis_dtl/2022061001.jpg" /></p>
-
증상 Symptoms
- 선천성 무섬유소원혈증 환자의 2/3는 유아기 때부터 출혈이 동반되는데, 출혈의 정도와 빈도는 경한 정도에서 중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출혈은 구토 시, 포경수술 후, 분만 시, 피부조직의 혈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출혈은 혈우병 환자보다 경하게 나타나며 오랜 기간 출혈 없이 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br />
<br />
또 다른 증상으로는 경한 외상, 유치 손실이나 발치로 인해서도 심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잇몸 출혈이 동반되거나 쉽게 멍이 들기도 합니다. 일부의 환자에선 혈관절증, 비출혈, 장출혈, 월경과다, 혈흉, 비장파열 등 다양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고 섬유소원의 투여가 혈전증 소인이 되어 사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복되는 자연 유산과 혈전증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p><img alt="제1인자 결필증의 증상" src="/cdchelp/img/dis_dtl/2022061002.jpg" /></p>
<strong>◈ 중증소견</strong><br />
출생후 심각한 출혈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
원인 Causes
- 제 1인자 결핍증은 상염색체 열성 형질로 유전됩니다.<br />
섬유소원의 부족과 결핍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염새게 4번의 장완(4q28)에 존재하는 섬유소원 alpha-chain (FGA), beta-chain (FGB), gamma-chain (FGG)이며 이들 3가지 유전자 중 하나의 비정상 변이를 통해 발생하게 됩니다.
-
진단 Diagnosis
- 섬유소 형성에 필수적인 섬유소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섬유소 형성과 관련된 모든 응고검사인 출혈시간(bleeding time, BT), 프로트롬빈시간(prothrombin time, PT),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사독응고시간(reptilase time)이 연장됩니다. 정상혈장이나 농축섬유소원을 투여할 경우 이러한 혈액 응고검사가 정상화됩니다.<br />
<br />
무섬유소원혈증은 섬유소원의 정량적 분석을 하는 면역학적 방법으로 확진하게 됩니다. 검사에서 혈액 섬유소원 농도는 0.1 g/L미만입니다.<br />
<br />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FGA, FGB, FGG유전자의 돌연변이를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생어 염기서열 분석 (Sanger sequencing)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br />
<br />
● 감별진단
<table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style="width:500px">
<tbody>
<tr>
<td>질환</td>
<td>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aPTT)</td>
<td>프로트롬빈시간(PT)</td>
<td>섬유소원 활성도(Fibrinogen activity)</td>
<td>섬유소원 항원(Fibrinogen antigen)</td>
</tr>
<tr>
<td>무섬유소혈증</td>
<td>심한 연장</td>
<td>심한 연장</td>
<td>없음</td>
<td>없음</td>
</tr>
<tr>
<td>저섬유소혈증</td>
<td>섬유소원 농도에 따라 연장</td>
<td>섬유소원 농도에 따라 연장</td>
<td>감소</td>
<td>감소</td>
</tr>
<tr>
<td>선천성 이상섬유소원혈증</td>
<td>연장</td>
<td>연장</td>
<td>감소</td>
<td>정상</td>
</tr>
<tr>
<td>저이상섬유소원혈증</td>
<td>연장</td>
<td>연장</td>
<td>감소</td>
<td>감소</td>
</tr>
<tr>
<td>후천성 이상섬유소원혈증</td>
<td>섬유소원 농도에 따라 연장</td>
<td>섬유소원 농도에 따라 연장</td>
<td>감소</td>
<td>감소</td>
</tr>
</tbody>
</table>
-
치료 Treatment
- 제 1인자 결핍증 환자의 치료는 섬유소원(fibrinogen concentrates)을 보충해 주는 것입니다. 섬유소원의 반감기는 2~4일이나 섬유소원의 회복과 생존은 환자마다 다양하고 같은 환자마다 다양하고 같은 환자라도 시기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혈중 섬유소원 농도는 매일 측정해야 합니다.<br />
<br />
섬유소원 투여할 경우 알레르기 반응과 드물게 간염 및 섬유소원애 대한 항체 형성이 발생할 수 있고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은 동결침전제제가 사용됩니다.<br />
<br />
반복되는 유산을 예방하기 위하여 임신초기부터 섬유소원을 투여합니다.<br />
<br />
수술시에는 과도한 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혈액내 섬유소 농도는 1~1.5 g/L로 올려놓고, 수술 정도나 상처회복 정도에 따라 수술 후 4~14일간 섬유소원 보충을 지속합니다.<br />
<br />
2009년 미국 FDA에 승인된 인간재조합 섬유소원(human fibrinogen concentrate, RiaSTAP)이 무섬유소원혈증과 저섬유소원혈증에서 급성기 출혈 증상에 사용되고 있습니다.<br />
<br />
섬유소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동결침전물(Cryoprecipitate)를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br />
<br />
또한 유전학적 상담이 환자와 환자 가족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Bibliography&Site
- HEMATOLOGY, 4TH Ed.: William J, Williams, et al., Editors; McGraw-Hill, Inc. P. 1474-75.<br />
혈액학, 대한혈액학회, 이퍼블릭, 2006<br />
Kim DYm Kim SC, Kim IK. Spleen Rupture in Congenital Afibrinogenemia. J Korean Assoc Pediatr Surg. 1999;5:137-40<br />
Kim HS, Park KI, Namgung R, Lee C, Han DG, Kim KY, Kim HS. A case of congenital afibrinogenemia, Korean J Perinatol 1992;3:99-103<br />
http://www.rarediseases.org<br />
Casini A, et al. Blood Reviews, https://doi.org/10.1016/j.blre.2020.100793<br />
https://medlineplus.gov/genetics/condition/congenital-afibrinogenemia/<br />
https://emedicine.medscape.com/article/960677-over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