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항목분류에 속한 다른 질환을 검색합니다.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목록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목록 (KCD코드, 질환명,환자등록기준)를 제공하는 테이블
KCD코드 |
질환명 |
환자등록기준 |
D56.1 |
쿠울리빈혈 Cooley’s anaemia |
신규등록
재등록
|
D56.1쿠울리빈혈 (Cooley’s anaemia)
질환주요정보
관련질환명, 영향부위,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잔정특례코드, 의료비지원여부로 이루어진 질환주요정보 게시판입니다.
관련질환명 |
중증 베타지중해빈혈 Major (Beta thalassemia, major ) 중증 지중해빈혈 ( Major thalassaemia) |
영향부위 |
체내 : 간, 갑상선, 담낭, 비장, 신경, 심장, 혈관(혈액) 체외 : 골격, 두개골 |
증상 |
빈혈 |
원인 |
혈색소를 구성하는 베타 글로빈 생산 관련 돌연변이 |
진단 |
혈액 혈색소 검사, 유전자 검사 |
치료 |
수혈, 철분제거 약제치료, 조혈모세포이식 |
산정특례코드 |
V232 |
의료비지원 |
지원 |
※ 질환별 정확한 의료비지원대상 여부 및 지원범위는 ‘지원사업 > 의료비지원사업 > 대상질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질환세부정보
- 아래 메뉴를 선택하시면 해당 내용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관련임상시험
-
개요 General Discussion
- 인간의 모든 혈색소(헤모글로빈)는 두 개의 글로빈 사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지중해빈혈(Thalassemia, 탈라세미아)은 글로빈 사슬의 결핍으로 인한 두 종류 글로빈 사슬의 양적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군을 가리키는데 대부분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br />
<br />
지중해빈혈, 즉 탈라세미아는 그리스어 ‘바다’에서 유래된 말로 초기의 환자들 중 많은 환자들이 지중해 연안에서 발견된 데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이 병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지중해 연안 외에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일부, 인도, 중동 등에서 많이 발생한다. 한국과 같이 다발 지역이 아닌 곳에서도 발견되며 세계 인구의 이동으로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br />
<br />
쿠울리빈혈(Cooley’s anemia)은 2개의 베타 글로빈 유전자 모두 돌연변이나 결실이 있는, 베타지중해빈혈 중에서도 중증인, 베타지중해빈혈 메이져를 가리킨다. 지중해빈혈 전체에 대한 요약 설명은 중증지중해빈혈(Major thalassaemia)에 기술한 바 있다. <br />
<br />
<img alt="그림 지중해빈혈. 적혈구안의 헤모글로빈은 알파체인(a chain)과 베타체인(b chain), 헴(Heme)으로 구성되어있다. 지중해빈혈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기본적으로 혈색소를 구성하는 사슬 중 양이 적어진 글로빈 사슬의 이름으로 분류합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형이 베타 탈라세미아(B-thalassemia)와 알파 탈라세미아(a-thalassemia)입니다. 질병관리청, 대한의학회" src="/cdchelp/img/dis_dtl/s019_a.jpg" style="width:550px" />
-
증상 Symptoms
- 쿠울리빈혈의 경우 빈혈은 생후 수개월부터 나타나며 혈색소 수치가 2-3g/dL(정상 성인은 보통 12-16g/dL)로 매우 낮아져 정기적인 수혈을 필요로 한다. 수혈을 적절히 받지 않은 경우 성장 지연, 간과 비장이 커지는 간비종대를 보이고 골 형성 이상이 나타나는데, 두개골의 변화에 의한 탈라세미아 얼굴, 장골 등의 치밀도감소와 이로 인한 골절을 동반할 수 있다. 흔한 합병증으로는 담석과 다리의 궤양이 있다. 수혈을 안 하는 경우 생후 2년 내에 사망하며 적절한 수혈로 정상 혈색소(11g/dL이상)를 유지할 때 환아는 정상적으로 성장하나, 사춘기 때에 간, 심장, 내분비계의 이상을 보여 간부전, 갑상선 저하증, 이차성징의 지연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수혈에 의한 철분의 조직 내 침착에 의하며 과도한 철분의 제거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10대나 20대에 울혈성 심부전으로 사망한다.
-
원인 Causes
- 쿠울리빈혈은 베타 지중해빈혈 메이져에 속한다. 유전학적으로 베타 지중해빈혈의 원인은 ß 글로빈 유전자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며, 그 대부분은 점돌연변이 이고 일부는 결실이 원인이다. 점돌연변이는 약 200종이 알려져 있으며 ß 글로빈 유전자의 전체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베타 지중해빈혈(ß-thalassemia)의 유병률이 높은 지역에서 ß 글로빈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특징적인 양상을 나타내어 몇 종류의 돌연변이가 그 지역의 돌연변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유병률이 적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돌연변이 종류가 다양하다. <br />
-
진단 Diagnosis
- 혈액검사 상 빈혈소견과 함께 형태적으로 심한 소구성 저색소성 적혈구, 심한 적혈구변형부동증, 표적세포, 호염기 반점이 나타난다. 또한 용혈과 철분 과다를 보이며, 때로는 당뇨, 갑상선 등 내분비이상을 보일 수 있다. 골수검사 소견은 심한 적혈구 증식과 때로 철분의 침착을 보인다. 혈색소 전기영동에서도 매우 다양한 결과를 나타낸다. 유전학적 원인의 규명은 DNA 분석을 통한 분자유전학검사로 가능하다. 즉, 글로빈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결실을 검사하여 유전학적 확진과 임상상 및 예후의 추정이 가능하다.
-
치료 Treatment
- 쿠울리빈혈의 경우 정기적인 수혈과 철분 제거 요법이 필요하다. 비장 적출은 비장기능항진증이 나타날 때 고려할 수 있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현재 완치를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치료법으로 간질환이 없는 젊은 환자에서 적절한 공여자가 있다면 시행했을 때 약 80% 이상의 완치율을 보인다. <br />
또한 탈라세미아 환자의 결함이 있는 유전자를 대체하는 유전자 치료 연구가 진전되고 있으며, 베타 탈라세미아(ß-thalassemia)에서 감소된 ß 글로빈을 보상하기 위해 5-아자사이티딘(5-azacytidine), 하이드록시유레아(hydroxyurea) 등의 다양한 약제를 사용하여 γ 글로빈 유전자를 활성화 시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Bibliography&Site
- Recently increasing hematologic diseases in Korea. Korean J Med. 2010 May;78(5):557-563<br />
대한내과학회지: 제 46권 제 5호 1994<br />
대한혈액학회, 혈액학: hematology,이퍼블릭, 2006<br />
<a href="http://en.wikipedia.org" target="_blank" title="새창으로 열림">http://en.wikipedia.org</a><br />
<a href="http://www.ncbi.nlm.nih.gov/omim" target="_blank" title="새창으로 열림">http://www.ncbi.nlm.nih.gov/omim</a><br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thalassemia in Korea: a single institute experience. J Korean Med Sci. 2013 Nov;28(11):16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