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항목분류에 속한 다른 질환을 검색합니다.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목록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목록 (KCD코드, 질환명,환자등록기준)를 제공하는 테이블
KCD코드 |
질환명 |
환자등록기준 |
E75.2 |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 Pelizaeus-Merzbacher disease |
신규등록
재등록
|
E75.2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 (Pelizaeus-Merzbacher disease)
질환주요정보
관련질환명, 영향부위,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잔정특례코드, 의료비지원여부로 이루어진 질환주요정보 게시판입니다.
관련질환명 |
PLP1-연관 질환 (PLP1-related disorders) 알란-헌든-더들리 증후군 (Allan-Herndon-Dudley syndrome) 제2형 강직성 하반신 마비 (Spastic paraplegia type 2: SPG2)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유사병 (Pelizaeus-Merzbacher-like disease) 저수초화 백질이영양증1 (Hypomyelinating leukodystrophy1) 미만성 가족성 뇌경화증 (Sclerosis, diffuse familial brain) 수단친화성 백질이영양증 (Sudanophilic leukodystrophy) 뇌경화증
(Cerebral sclerosis) |
영향부위 |
체내 : 뇌, 신경 체외 : 골격, 근육, 눈 |
증상 |
강직 마비, 발달지연, 비정상적 안구운동, 시신경 위축, 운동실조 |
원인 |
뇌수초 형성 장애 , myelin proteolipid protein(PLP)의 형성 장애 |
진단 |
뇌자기공명영상, 신경전달 속도 검사, PLP1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 |
치료 |
보존적 치료 |
산정특례코드 |
V900 |
의료비지원 |
지원 |
※ 질환별 정확한 의료비지원대상 여부 및 지원범위는 ‘지원사업 > 의료비지원사업 > 대상질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질환세부정보
- 아래 메뉴를 선택하시면 해당 내용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관련임상시험
-
개요 General Discussion
-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Pelizaeus-Merzbacher disease (PMD)는 뇌와 척수의 백질의 이상과 연관한 중추신경계의 매우 드문 X 염색체 연관 유전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뇌의 수초(myelin sheath)를 이루는 지방과 단백질의 주요 하나 이상의 구성물의 비정상 발달로 인한 백질이영양증 질환의 하나입니다. 수초는 신경세포를 둘러싸 보호하며 신경세포의 기능을 돕는 데,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에서는 대뇌피질하 영역, 소뇌, 뇌간, 척수 등의 중추신경계 여러 부분에 영향을 미쳐 실조증(ataxia), 불수의적 근육경직(spasticity), 발달지연, 지연성 운동능력 소실, 점진적 지적기능 악화를 초래합니다.<br />
<br />
병의 심한 정도는 자기공명 영상이나 전기생리학적 검사 결과와는 별개로, 5세에서 10세 사이에 어느 정도의 운동능력을 가질 수 있는가에 의해 좌우됩니다. 심한 증례에서는 어떤 운동 능력도 갖지 못한 상태에서 주로 청소년기에 누워 지내게 되어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가장 양호한 증례에서는 환아는 걷기나 말하기까지 가능하고 청소년기에 병이 진행하나 꽤 오래 생존이 가능합니다.<br />
<br />
80% 이상의 남자 환자들에서 X 염색체 장완에 위치한(Xq22) PLP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됩니다. 중증은 전형적인(classic), 신생아(neonatal), 이행기형(transitional)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과 무 PLP1 단백형 증후군(PLP1 null syndrome; no PLP1 protein)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br />
<br />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의 빈도는 미국에서 200,000~500,000명당 1명꼴로 추산하고 있으며 여자는 거의 영향이 없습니다.
-
증상 Symptoms
-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의 임상증상은 영아기나 소아기의 초기에 나타나며, 특징적 임상 증상으로는 진자양 안진, 천명, 정신운동발달장애 또는 퇴행, 운동실조, 무정위운동, 불수의운동, 구음장애, 지적장애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움직이지 못합니다.<br />
<br />
진자양 안진은 비교적 병의 초기인 생후 6개월에서 4세 사이, 혹은 더 이른 생후 10주경에 발견되며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의 특징적 임상증상으로 약 88%의 환아에서 나타나며 다른 백질이영양증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감별진단에 매우 중요한 소견입니다.<br />
<br />
천명은 심한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에서 비교적 초기에 발현되는 증상이며 보통 생후 6주 이내부터 나타나는데 이는 고위 운동 신경원 또는 상부뇌간의 결손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고 심한 경우 흉골 상부 또는 흉골 하부의 견축이 발생하여 외과적 처치가 요구될 때도 있습니다.<br />
<br />
다른 백질이영양증에서는 대부분 대두증이 나타나나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 때는 주로 소두증이 나타납니다. 간질은 없는 경우가 많으나 간질이 나타나는 경우는 조절이 어렵고 병의 초기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br />
<br />
다양한 정도의 지적장애, 지능저하가 있고 간단한 명령을 따라 할 수도 있습니다. 때로 감정의 비정상적 풍부함과 불수의적 가성연수 미소가 종종 발견됩니다. 간단한 언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정도로 언어발달이 이루어지며 구음장애, 언어완만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청각은 정상인 경우가 많으나 나쁜 경우도 있습니다.<br />
<br />
1) 고전적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classical PMD)<br />
고전적 PMD는 이른 영아기 주로 생후 2개월 전에 발생합니다. 초기에는 목가누기가 안되고, 빠른 불수의적 안구 진전을 보입니다. 성장 부전도 초기 징후입니다. 영유아 및 소아 환자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떨림(tremor), 허약감, 얼굴 찡그림, 저긴장증, 운동실조, 정신운동지체(앉기, 서기, 걷기) 등이 명확해집니다. 또한 불수의적 근강직으로 팔다리의 부분적 마비가 될 수 있고, 관절구축, 시신경 위축, 조음장애(dysarthria)가 발생합니다. 소아 환자는 나이가 들면서 안진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일부 소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한 강직으로 골격계 변형이 올 수 있습니다.<br />
<br />
2) 신생아형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connatal or neontatal PMD)<br />
허약감, 경직, 들숨협착음(stridor), 안진, 경련 등이 출생 직후 또는 출생 수주 이내에 나타납니다. 심한 삼킴장애로 인해 위창냄술(gastrostomy)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환아는 정신착란과 언어와 보행의 발달 부전을 보이며, 빠르게 진행하여 소아시기에 종종 사망합니다.<br />
<br />
3) 이행기형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transitional PMD)<br />
고전형(classical PMD)과 신생아형(connatal PMD)의 중간 정도의 중증도를 보이는 형태로, 고전형과 신생아형에서 보이는 임상 증후는 비슷하지만 병의 진행은 고전형보다는 빠르고 신생아형 보다는 느립니다.<br />
<br />
4) 무 PLP1 단백형 증후군(PLP1 null syndrome)<br />
경증의 강직성 사지마비, 경증의 운동실조, 경증의 탈수초 말초신경병증과 영아기 안진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보행은 청소년 시기나 젊은 성인기에 빠르게 악화됩니다. PMD연관 PLP1 변이를 갖는 여성 보인자는 경, 중등도의 징후를 보이며 일부 나이가 들면서 징후가 호전됩니다.<br />
<br />
<strong>◈ 중증소견</strong><br />
신생아형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은 출생 시부터 빠르게 신경학적 변화 및 퇴행을 보여 침상 생활만을 하며, 비위관 또는 위루관을 통해 식이를 공급받고 조절되지 않는 경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원인 Causes
-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은 80% 이상의 남자 환자들에서 X 염색체 장완에 위치한(Xq22) proteolipid protein, PLP1 (proteolipid protein 1, HGNC ID: 9086, 22.6. 기준)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됩니다. PLP1 유전자의 변이가 확인되지 않은 5~20%의 남자 환자들 중 일부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의 GJC2(gap junction protein gamma 2, HGNC ID: 17494, 22.6. 기준) 유전자에 의한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유사병(Pelizaeus-Merzbacher-like disease (PMLD) 일 수 있으며,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과 임상적으로 구별이 어렵습니다.<br />
<br />
PLP1 유전자 중 10-30%는 유전자 내의 점돌연변이를 가지며, 이 경우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임상증상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의 감소와 proteolipid protein (PLP)의 합성장애에 의해 중추신경계 백질의 수초형성부전(dysmyelination)이 발생합니다.
<p><img alt="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의 원인" src="/cdchelp/img/dis_dtl/s06_157_i01.jpg" /></p>
같은 PLP1 유전자이지만 다른 맞섬유전질환(allelic disorder)으로 경직성 하반신마비(spastic paraplegia 2, SPG2), hypomyelination of early myelinating structures (HEMS) 등과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유사병(Pelizaeus-Merzbacher-like disease (PMLD)), 다른 백질이양증을 야기하는 여러 유전질환(MCT8, POLR3A, FAM126A, TUBB4A, LMN18, AIMP1, HSPD1...) 등과도 감별이 필요합니다.
-
진단 Diagnosis
- <p>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임상증상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뇌 자기공명영상을 포함한 다른 검사 소견을 참고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p>
<p><img alt="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의 진단" src="/cdchelp/img/dis_dtl/s06_157_i02.jpg" /></p>
<p>이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2가지 기준을 만족해야 합니다.</p>
<ul>
<li>1) 시신경 유발 전위 또는 청각 유발 전위 검사 등 뇌의 전도 기능의 장애가 있으면서 말초 신경 전도 기능은 정상입니다.</li>
<li>2) 뇌 자기공명영상 소견에서 T1 강조 영상에서는 정상인데 반해 T2 강조 영상에서는 소뇌, 뇌간 등에서 탈수초에 의한 백질의 광범위한 고강도를 보이는 소견이 있습니다.</li>
</ul>
유전자 진단은 PLP1 유전자 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PLP1 유전자의 중복이나 결손 등의 복제 수 변화를 FISH, MLPA, 정량 PCR 등의 방법으로 발견하거나, 생어 염기서열 분석(Sanger sequecing)을 통해 점돌연변이를 밝힐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백질이영양증 질환이나 PMD유사 질환과 감별을 위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을 통해 증상 관련 유전자 패널을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중복이나 결손에 대한 유전자 검사시 환자의 50%-60%,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환자의 15%-25%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자 진단은 질환의 확진, 보인자 및 산전진단에 이용됩니다.
-
치료 Treatment
- 신경학적 치료뿐 아닌 재활의학, 정형외과학, 내과적으로 다각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다발성 경화증 때 신경전도이상을 개선하는 데 사용하는 나트륨통로차단제인 digitalis를 써 보는 것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digitalis의 사용으로 구음장애와 인지능력은 개선되었으나 하지의 강직성 수축, 상지의 무정위운동, 운동실조로 인한 운동장애는 개선되지 않았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경련이 동반된 경우 항경련제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카바마제핀 (carbamazepine)과 같은 항경련제에 치료 반응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br />
가족간의 유전상담이 필요합니다.<br />
<br />
<strong>◈ 예후</strong><br />
신생아형의 경우 소아기에 사망합니다. 그러나 조기 발견으로 인한 적절한 치료에 따라 여명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인자의 경우 증상은 경하거나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Bibliography&Site
- 1. Padiath QS. Saigoh K, Schiffmann R. et al. Lamin B1 duplications cause autosomal dominant leukodystrophy. Nature Genet. 2006;38:1114-23<br />
2. Note: Erratum: Nature Genet 2007;39:276.<br />
3. Ptacek LJ. Fu YH, Koeppen A.The dominant form of vanishing white matter-like leukoencephalopathy represents autosomal dominant leukodystrophy. (Letter) Ann. Neurol 2006;59:434<br />
4. GeneReviews [Internet]. PLP1 Disorders. Wolf NI, van Spaendonk RML, Hobson GM, et al. 1999 Jun 15 [Updated 2019 Dec 19]. Available from: http://www.ncbi.nlm.nih.gov/books/NBK1182/<br />
5.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NORD). Pelizaeus-Merzbacher Disease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rarediseases.org/rare-diseases/pelizaeus-merzbacher-disease/<br />
6. MedlinePlus. Pelizaeus-Merzbacher Disease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medlineplus.gov/genetics/condition/pelizaeus-merzbacher-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