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항목분류에 속한 다른 질환을 검색합니다.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목록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목록 (KCD코드, 질환명,환자등록기준)를 제공하는 테이블
KCD코드 |
질환명 |
환자등록기준 |
없음 |
17번 염색체 단완 13.3 부분의 미세결손 증후군 Distal 17p13.3 microdeletion syndrome |
산정특례 사전승인 신청 필요
|
코드없음17번 염색체 단완 13.3 부분의 미세결손 증후군 (Distal 17p13.3 microdeletion syndrome)
질환주요정보
관련질환명, 영향부위,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잔정특례코드, 의료비지원여부로 이루어진 질환주요정보 게시판입니다.
관련질환명 |
Miller-Dieker syndrome |
영향부위 |
체내 : 뇌 체외 : 골격, 귀, 근육, 눈 |
증상 |
발달지연, 성장지연, 저신장, 안면이상형태증, 근육긴장저하, 심혈관계 이상, 비뇨생식기계 이상, 눈의 이상, 경련 |
원인 |
염색체 이상 (미세결실 증후군) |
진단 |
임상적 특징, 세포유전학적 검사 (FISH, array-CGH 등) |
치료 |
언어치료, 운동치료, 물리치료, 항뇌전증 약물 등 증상에 따른 치료
골격계, 심혈관계, 비뇨기계의 구조적 이상의 경우 수술적인 교정 |
산정특례코드 |
V901 |
의료비지원 |
지원 |
※ 질환별 정확한 의료비지원대상 여부 및 지원범위는 ‘지원사업 > 의료비지원사업 > 대상질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질환세부정보
- 아래 메뉴를 선택하시면 해당 내용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관련임상시험
-
개요 General Discussion
- 17번 염색체 단완 13.3 부분의 미세결손이 있는 질환으로 발달지연, 지능저하, 수유곤란, 성장지연, 저신장, 안면이상형태증, 근육긴장저하, 심혈관계 이상, 비뇨생식기계 이상, 눈의 이상, 경련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는 증후군성 질환입니다.
-
증상 Symptoms
- 증후군성 질환으로 다양한 증상을 나타냅니다.<br />
<br />
- 대부분은 만삭에 정상체중으로 출생하나, 일부에서는 출생 전에 자궁내 성장지연을 보이거나 조산으로 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출생 후에는 근육긴장저하로 인해 빨거나 삼키는 것을 어려워하여 수유곤란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성장지연이 나타나기도 하며, 호르몬 검사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이 동반되어 성장호르몬을 보충하는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br />
- 대부분의 환자에서 바깥으로 뻗은 눈썹, 두눈먼거리증 (hypertelorism), 넓은 코, 아래턱후퇴 (retrognathia), 낮게 위치한 귀(low set ears), 안검하수, 눈 아래쪽의 주름 등의 외형적인 특징이 나타납니다.<br />
- 많은 경우에서 근육긴장저하로 인해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이 지연됩니다. 또한 지능저하, 언어발달 지연 등의 문제가 동반되기도 합니다.<br />
- 청력저하가 일어날 수 있음이 보고되어 있는데, 잦은 중이염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중이 환기관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청력저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호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br />
- 원시, 근시, 난시 등의 시력 이상과, 사시, 안진 등 기타 눈의 이상이 보고되어 있습니다.<br />
- 손, 발의 형태 이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는데, 손가락옆굽음증 (clinodactyly)이 가장 흔하며, 단지증 (brachydactyly), 합지증 (syndactyly) 등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만곡족 (clubfoot) 등 발의 이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물리치료나 수술적 교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br />
- 잠복고환, 요도하열, 방광요관역류, 수신증 등의 비뇨생식기계 문제가 있어 수술적 교정이 필요한 경우가 보고되어 있습니다.<br />
- 심혈관계 이상은 드물다고 알려져 있으나, 동맥관개존증, 팔로네증후 (tetralogy of Fallot) 등으로 수술적 교정을 받은 환자가 보고되었습니다.<br />
뇌 자기공명영상 (MRI)을 시행하였을 때 뇌의 구조적인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소뇌의 구조적인 이상인 키아리 기형 (Chiari malformation)이 알려져 있으며, 수술적인 교정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뇌파 이상을 동반한 무긴장발작 (atonic seizure)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br />
변비나 위산역류 등의 소화기관 문제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br />
-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강박장애 등의 행동 문제를 나타내는 환자가 보고되었습니다.
-
원인 Causes
- 염색체 미세결실에 의한 질환입니다. 염색체는 우리 몸의 성장, 발달, 기능을 결정하고 조절하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구조물입니다. 염색체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각각의 세포에 들어있고, 단완 (p arm)과 장완 (q arm)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br />
<br />
수정 전의 정자와 난자, 또는 수정 이후의 수정란이 분열/증식 할 때 염색체가 복제되는데, 이러한 복제 과정에서 염색체의 일부분이 파열되어 소실되는 현상을 결실이라고 합니다. 결실이 일어날 경우, 결실이 일어난 부위에 해당하는 유전정보가 소실되어 우리 몸의 성장, 발달, 기능에 결함을 초래하게 됩니다.<br />
<br />
17번 염색체 단완 13.3 부분의 미세결손이 일어나게 되면 위에서 언급한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17p13.3 위치에는 PAFAH1B1(LIS1), YWHAE, CRK 유전자가 위치해있는데, 이 중 PAFAH1B1(LIS1)와 YWHAE 유전자의 결손이 발생할 경우 밀러-디커증후군 (Miller-Dieker syndrome)이 발생합니다. 밀러-디커증후군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에 기술되어 있습니다.
-
진단 Diagnosis
- 의심되는 환자에서 핵형분석과 형광동소보합법 (FISH),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Array-CGH) 등 세포유전학적 검사를 하는 것이 진단에 필요합니다. <br />
핵형검사 (karyotyping)는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여 진행합니다. 세포를 배양하고 전처리한 뒤, 고정하면 분열 중기 상태에 이른 세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사진 찍고 크기순으로 재배열하면 큰 규모의 염색체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br />
<br />
<img alt="염색체검사 혹은 핵형분석의 단계: 채혈/검체채취 후 배양, 전처리 세포고정 분리, 슬라이드 도말, 효소처리 염색체 추출 고정, 세포분열 중기(metaphase) 세포 확인 현미경 관찰, 염색체 사진촬영 크기 순 재배열, 핵형분석" src="/cdchelp/img/dis_dtl/RA201910084_1.jpg" /><br />
형광동소보합법은 특정 sequence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특정 유전자에 대한 DNA탐색자에 형광물질신호를 붙여 FISH 탐색자를 만들고, 이를 검사하고자 하는 DNA에 상보적으로 붙여보는 검사입니다. 만약 해당 DNA가 찾고자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면 FISH 탐색자-DNA 결합체를 형성하여 염색체에서 형광물질 신호를 찾을 수 있게 됩니다. <br />
<br />
<img alt="형광동소보합법 그림" src="/cdchelp/img/dis_dtl/RA201910084_2.jpg" /><br />
한편 마이크로어레이 검사는 여러 개의 열에 각각 특정 sequence를 인식하는 탐식자(probe)를 심어, 해당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검사 방법입니다. 이를 응용한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Array-CGH)는 염색체 검사를 통한 수적 이상 뿐만 아니라, 염색체의 아주 미세한 부분의 중복이나 결실까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r />
<br />
<img alt="고해상도 유전체검사 그림: 대표적인 것으로 array CGH가 있음" src="/cdchelp/img/dis_dtl/RA201910084_3.jpg" /><br />
정확한 진단과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부모님도 함께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님과 아이의 세포유전학적 검사를 함께 시행하는 것은 이후의 산전 유전상담에도 도움이 됩니다.<br />
<br />
동반된 기형을 확인하기 위해 뇌 자기공명영상 (MRI), 골격계의 X선 촬영, 심장초음파, 안과검진, 복부 초음파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환자가 가지고 있는 증상에 따라 뇌파 검사, 청력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
치료 Treatment
- 미세결실 증후군의 완치법은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환자가 나타내는 증상에 따라 언어치료, 운동치료, 물리치료, 항뇌전증 약물 등의 치료를 적용합니다.<br />
심혈관계, 골격계, 비뇨생식기계의 구조적 이상이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수술적인 교정을 시행합니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Bibliography&Site
- Barros Fontes MI, Dos Santos AP, Rossi Torres F, Let al. 17p13.3 Microdeletion: Insights on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Mol Syndromol. 2017 Jan;8(1):36-41. <br />
<br />
https://www.rarechromo.org/media/information/Chromosome%2017/17p13.3%20microdeletions%20FTNW.pdf<br />
https://www.orpha.net/consor/cgi-bin/OC_Exp.php?lng=en&Expert=261257